트럼프 관세정책에 따른 구미기업 영향 조사
구미상공회의소(회장:윤재호)는 미국 대통령인 트럼프가 한국에서 생산한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발표*한 상황에서 지역 내 10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트럼프 관세정책에 따른 구미기업 영향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 중국 34%, 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등
구미지역 응답기업 72.3%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25.7%의 기업은 영향이 없을 것이라 응답하였고, 나머지 1.9%는 경쟁국에 대한 관세 확대로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간접영향권(55.2%), 직접영향권(17.1%)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유형을 살펴보면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32.5%로 가장 많았고, ‘對美 완제품 수출기업’이 14.3%, ‘對美 부품·원자재 수출기업’은 11.7%로 나타났으며, 그 외 ‘對멕시코·캐나다 부품·원자재 수출 기업’(9.1%), ‘對중국 부품·원자재 수출기업’(7.8%)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우리나라에 25%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상황에서 지난해 구미지역 對美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對美수출은 전체의 약 11%를 차지하였으며, 무선통신기기(13.9%), 정밀화학원료(12.5%), 기타기계류(10.2%), 반도체(6.8%), 플라스틱 제품(6.2%) 등 순으로 나타나 해당 산업군에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
또한 관세정책으로 인해 우려되는 사항으로는 ‘간접영향으로 기업 매출 감소’(56.6%)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19.7%), ‘고객사·유통망과의 계약 조건 악화’(11.8%),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 부담’(6.6%), ‘미국 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3.9%), ‘생산기지 이전으로 인한 추가 비용 부담’(1.3%) 등이 주요 리스크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 수준을 살펴본 결과,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는 기업*은 29.5%에 불과하였으며, 아직 동향을 모니터링 중인 기업이 52.6%, 아직 대응 계획이 없는 기업이 17.9%로 나타났다.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26.9%), 현지생산, 시장다각화 등 근본적인 관세회피 대응책 모색 중(2.6%)
한편, 구미상공회의소 경북FTA통상진흥센터에서는 수출기업을 위한 찾아가는 상담회를 5월에 진행할 예정이고, 구미상의 5층에 위치한 코트라에서는 관세 피해 최소화를 위해「관세 대응 119」를 운영하고 있으며,
심규정 경제조사팀/기업유치팀장은 관련 기업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경쟁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정부차원의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