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구미소식 > 기관.경제.기업
기관.경제.기업

2025년 경북지역 상반기 수출 현황

김영숙기자 0 46

0f5a6028973cc58ee25444c5d157a98e_1752740420_1353.jpg
 

경북상공회의소(회장 윤재호) 경북FTA통상진흥센터에서는 관세청 및 한국무역협회 수출입 통계 자료를 활용해 ‘2025년 경북지역 상반기 수출 현황을 분석하였다.

참고 1 : 품목은 HS 코드를 활용하여 2단위 기준으로 작성

 

2025년 상반기 경북지역 수출액은 180.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상반기 총 수출액(3,347.2억 달러) 대비 경북은 5.4%를 차지해 경기, 울산, 충남, 서울, 인천, 경남, 전남에 이어 전국 8위를 기록했다.

참고 2 : 2024년 상반기 경북지역 수출액 186.9억 달러

 

경북지역의 주요 수출 품목은 85(전기기기와 그 부분품)으로 수출액은 70.5억 달러, 전체의 39%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이어 철강(72), 기계류(84), 무기화합물(28), 플라스틱 및 제품(39), 알루미늄과 그 제품(76), 자동차부품(87) 순으로 수출이 이어졌다.

 

주요 수출 대상국은 작년과 동일하게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인도 순으로, 이들 5개국 수출액은 1163천만 달러로 경북 전체 수출의 약 64.4%를 차지해 지역 수출의 핵심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기초자치단체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구미시가 92.2억 달러(전년 대비 1.4% 증가)로 전체 경북 수출액의 51.1%를 차지해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고, 이어 포항시 40.1억 달러(22.2%), 영주시 10.6억 달러(5.9%), 경산시 8.9억 달러(5.0%) 순으로 나타났다.

 

경북 수출 1위 도시인 구미시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대만 순으로 조사됐으며, 중국은 41.9억 달러로 1.9% 증가, 미국은 15.5억 달러(25.0% 증가), 베트남은 7.4억 달러(42.0% 증가)를 기록했다. 일본과 대만은 각각 2.8억 달러, 2.5억 달러로, 상위 3개국이 구미 전체 수출의 약 70.3% 차지했다.

 

최근 5개년 상반기 구미, 포항, 영주, 경산, 경주 등 주요 기초자치단체의 수출 실적을 살펴본 결과, 구미시가 평균 수출액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포항, 영주, 경산, 경주가 그 뒤를 이어 경북 수출을 꾸준히 견인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미와 포항은 경북 전체 수출의 70% 이상을 지속적으로 차지하며, 지역 대표 수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2025년 상반기 경북지역의 간접수출액은 212,370억원으로, 서울과 경기에 이어 전국 3위를 기록했다. 간접수출은 구매확인서와 내국신용장(L/C)을 통해 수출기업에 원·부자재 등을 공급한 실적을 집계한 것으로, 지역 경제의 숨은 수출 기여도를 보여주는 지표다.

 

기초자치단체별 간접수출 실적은 포항시가 134,808억 원으로 전체 경북 간접수출액의 63.5%를 차지해 가장 높았으며, 이어 경주시 32,259(15.2%), 구미시 13,710(6.5%), 영천시 7,674(3.6%) 순으로 나타났다.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은 경북지역 상반기 수출은 미국의 관세 조치, 글로벌 경기 둔화, 중동 사태 등 여러 통상 이슈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전년 대비 소폭 감소에 그치며 비교적 잘 방어했다, “앞으로 지역 수출이 더욱 활성화되려면 정부와 지자체가 통상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무역금융 확대와 대체시장 발굴 등을 통해 기업이 안심하고 수출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지속적으로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