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구미소식 > 환경.사회.단체
환경.사회.단체

대구시 취수원 다변화사업 관련 보도자료(8.16) 사실과 다른 부분을 바로 잡습니다

김영숙기자 0 1426

809432cc6b67ff004ec8416b3ada7232_1660883371_6719.jpg
 

구미시(시장 김장호)는 대구 취수원 다변화 사업 관련 일부 언론 보도와 대구시 공문 내용 중 사실과 다른 부분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주요내용

 ▢ 낙동강 상류 폐수배출량의 65%를 자지하는 구미시의 구미국가산단 폐수 발생업체수 653개, 발생량 18만톤/일....


 ▢ 구미국가산단의 낙동강 수질오염사고 현황(9회), 페놀(‘91년 2회, ‘08년 1회), 퍼클로레이트(‘06년), 1,4-다이옥신(‘04년,‘09년), 불산(‘12년, ‘13년), 과불화합물(‘18년)....


2. 설명내용

 ▢ 낙동강 상․ 중류권역(대구.달성군 포함)에서의 폐수방류량은 구미시 49%(17.3만톤/일), 대구시 38%(13.6만톤/일)입니다. 구미국가산단내의 폐수발생 업체는 362개사, 방류량 12만톤/일로 구미국가산단내 폐수발생 업체 653개사, 발생량 18만톤/일은 사실과 다릅니다.  

    또한 대구 산단내 폐수발생 업체는 1,321개사, 방류량 10.7만톤/일로 폐수발생 업체수가 구미시의 3.6배이며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업소는 대구시 417개사, 구미시 111개사로 3.7배 정도 더 많습니다.  * 2022 산업폐수의 발생과 처리(2020년기준),  2021년 구미시 전국오염원 조사자료


 ▢ 구미시에서 발생한 낙동강 수질오염사고는“페놀(‘91년 2회)”로구미국가산단의 낙동강 수질오염사고 현황(9회)라는 사실과 다릅니다. 

    “페놀(‘08년 1회)”은 구미시가 아닌 김천시에서 발생한 수질오염사고이며“퍼클로레이트, 1,4-다이옥산, 과불화합물”은 낙동강 수계에 미량유해물질이 검출된 사항으로 사고가 아닙니다. 또한 불산(‘12년,‘13년)은 대기중에 누출된 환경오염사고로 낙동강 수질오염사고와는 전혀 무관한 사항입니다. 그래서 구미시에서 수질오염사고가 과도하게 나는 것처럼 보도한 사실을 바로 잡습니다. 


 ▢ 낙동강 수계 미량유해물질 중「과불화합물 전국 정수장․산업단지실태조사(환경부,2018)」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폐수처리장에서 대구시가 구미시보다 과불화화합물 농도가 300배 이상 높게 검출된 사실이 있습니다. 

      * 과불화화합물(과불화옥탄산(PFOA)) 실태조사 검출결과* 

   (과불화화합물 : 탄소와 불소가 합한 물질, 생태계 및 인간에 영향을 주는 환경 호르몬의 종류)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