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구미소식 > 사건.사고.안전
사건.사고.안전

환경부의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 짜 맞추기식 추진 논란

김영숙기자 0 1660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해 지난해 4월 29일 정부청사에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환경부에서는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용역을 시행한다는 전제로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기간 2019. 3. 29. ~ 2020. 3. 28.)」 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해 늦어도 지난 7월말까지는 확정 발표를 하기로 하였으나, 아직까지도 지연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조차 없이 발표를 연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8월 5일 환경단체 및 주민반발로 무산된 중간용역 보고회 이후,구미시 민·관협의회(위원장 윤종호) 및 반대추진위원회(위원장 김상섭)는 지속적인 회의를 통해 해당 사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해평취수장(7,199억)보다 대구강변여과수(5,544억)를 취수하는 대구시의 자구노력 방안이 훨씬 경제적이라는 입장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민·관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초 발표한 두 차례 중간용역 보고회(1월 31일, 4월 17일)의 용역(안)에는 상류지역에 대한 물 공급방안에 해평취수장이 취수원에서 제외 되었으나, 8월 5일 중간보고 용역(안)부터는 해평취수장을 포함시키는 등 10월 8일자 최종(안)까지 보고서 내용을 무려 4번씩이나 대구시에 유리한쪽으로 바꿨다.” 라고 밝혔다.

 

이에 덧붙여 이번 용역(안)에 대해 환경부가 성과 도출에 급급해 대구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려는 논리에 초점을 맞춰 주먹구구식으로 실시한 부실 용역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대구취수원 이전 구미시 민·관협의회 윤종호 위원장은 “이번 용역은 구미지역 주민들에게 한번의 사전설명회나 의견수렴 절차없이 대구시의 입장만 고려하여 중립적이지 못하다.” 면서 “물 다변화라는 타당성이 부족한 환경부의 짜 맞추기식 용역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 고 말했다.

56d438cb5e60f1734858e676df084191_1603177478_9735.jpg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