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알림게시판 > 주요행사
주요행사

한국 근대 화단의 대가 이응노 화백 탄생 120주년 기념하여 박대성 화백과 솔거에서 조우하다.

김영숙기자 0 152

8a3c70cdc27e3ee7f407e5e27456a4cb_1719322831_0258.jpg
 

경북문화관광공사(사장 김남일, 이하 공사)는 한국 근현대 화단에 큰 발자국을 남긴 이응노 화백의 탄생 1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소산 박대성 화백과의 교류전을 경주솔거미술관에서 622일부터 84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류전은 현지우현(玄之又玄)’ 교류 2차 전시로 한국화, 서양화, 드로잉, 조각 등 총 40여점을 경주솔거미술관 박대성 1~5관에서 만나 볼수 있다.

 

지난해 11월 홍성군과의 업무협약을 토대로 1차 전시는 지난해에 업무협약을 맺은 홍성군에 소재한 이응노 생가 기념관에서 개최해 성황리에 마쳤다.

 

이응노 화백은 동아시아의 서화라는 양식을 바탕으로 추상이라는 당시 세계 미술사의 흐름을 수용해 자신만의 미술 세계를 창조해 낸 한국 현대미술사의 거장이다.

 

그는 해방 이후에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동양과 서양의 회화를 탐구했고, 이에 멈추지 않고 서구 미술의 중심지인 파리에서 추상 미술을 흡수하되 한국 미술의 정체성도 함께 녹여냈다.

이응노 화백의 족적은 한국 미술을 깊게 이해한 뒤 다시 세계화한 대표적인 선례로 남았다.

 

한편, 박대성 화백은 끊임없는 자기 발전을 위한 노력 끝에 동서양의 회화 정신과 양식이 융합된 창조적인 수묵화를 그려내고 있다. 현재는 세계로부터 인정을 받아, K-POP과 더불어 K-ART의 선봉에서 한국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박대성 화백은 신라인을 자처하며 경주 삼릉 자락에서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그림을 위한 창작을 이어가고 있다.

 

김남일 사장은 문화의 힘을 키우기 위해서는 스스로 노력하여 뜻을 이룬 과거의 작가들과 현재의 작가들에게 그에 맞는 대우와 관심이 필요하다.”, “이번 전시를 통해 전혀 다른 삶을 살아온 두 거장이 걸어온 흔적을 살펴보고 한평생을 그림에 바치며 추구한 삶의 이치를 함께 되짚어 보고자 한다.” 말했다.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