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경북소식 > 경북소식
경북소식

포항시, 적극적인 생활물가 대책으로 서민 경제 안정화에 총력

이순락기자 0 1490

809432cc6b67ff004ec8416b3ada7232_1660892529_8084.jpg
 

포항시는 19일 시청에서 ‘생활·밥상물가 안정 범시민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손정호 일자리경제국장 주재로 진행된 이번 회의는 8월 11일 정부의 ‘제5차 비상경제민생회’의 방향에 따라 생활물가 및 민생 경제 안정화를 견인하기 위한 포항시의 신속한 대응으로 이뤄졌다. 최근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로 고통받고 있는 소비자와 소상공인을 위한 긴급 대응 방안과 민·관 경제 주체들의 상호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809432cc6b67ff004ec8416b3ada7232_1660892538_0742.jpg
 

  회의에서는 대내외 경제여건의 급속한 악화에 따른 장바구니 물가, 외식비 상승 등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 안정 대책을 마련하고, 원재료값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범시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의견을 나눴다.

 

  이와 관련, 앞서 지난 6월 물가 비상대책회의에서 논의된 ‘생활·밥상 물가 5종 세트’ 관련 예산을 지난 추경에서 전액 확보해,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일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하고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원재료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해 24억 원의 ‘원재료비 구입 특례보증 외 이차보전금’으로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1년간 2%의 이자 차액을 보전하고, △‘물가 안정 고용장려금’ 10억 원을 투입해 원재료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사업체에 1인당 최대 50만 원(업소당 2인)까지 인건비를 지원해 물가 인상을 방지한다. 


  아울러, △1억 원의 예산으로 품목별 평균가격 미만으로 영업하는 업소에 125만 원을 지원하는 ‘착한가격업소 제도’를 최대 200개까지 확대하며, △농·축·수협과 협의를 통한 물량 확보 및 적기 공급,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농특산물 직거래 확대, 사료구매자금 지원 및 조사료 생산장비 지원 확대 등 ‘농축수산물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물가 안정에 기여할 방침이다.


  또한, △상하수도 요금, 시내버스·택시비 및 쓰레기봉투 가격을 비롯한 ‘지방공공요금 동결’ 등 포항시가 가진 모든 가용수단을 총 동원해 서민물가 안정을 위해 매진할 방침이다.


  특히, △침체된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해 추석맞이 포항사랑상품권 900억 원을 발행하며, △전통시장 활력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주차환경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우수상품 박람회, 중앙상가 야시장 운영, 단체별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 추진, 비대면 장보기 배송서비스를 계속 추진해 나간다.


  뿐만 아니라 동네 단위 로컬유통채널 구축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7억 원 확보, 총사업비 8억8,000만 원으로 동네단위 모델점포 거점 온라인 쇼핑물을 개설하고, 온·온프라인으로 지역 생산자단체와 협업해 지역 내 우수 농축수산물 가공제품을 제공하는 등 소상공인과 지역 생산자가 윈윈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한편, 시뿐만 아니라 포항시 슈퍼마켓 협동조합 등 유관단체에서도 공동세일전 추진, 지역 특산물 발굴협의체 구성 및 상품가격 인하, 물가 안정 캠페인 전개 등 단체별 특성에 맞는 물가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손정호 일자리경제국장은 “폭염과 장마 등 계절적 요인으로 추가적인 물가 상승요인이 상존하는 위기상황에서 유관기관·단체에서 자발적으로 물가 안정 분위기에 적극 동참해 개인서비스 요금 인상을 자제해 주기 바란다”며“생필품 가격 하락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할인행사 협조 등 물가안정 관리에 모든 역량을 결집시켜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기사등록 : 박희성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