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 2025년 용계서원 춘향제 봉행
영천시(시장 최기문)는 지난 23일 용계서원(벽진이씨 경은공파 종회장 이종호) 내 경은이맹전선생부조묘 사당에서 100여 명의 후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을사년 춘향제가 엄숙히 봉행됐다고 전했다.
이날 춘향제는 초헌관 이길원(경은 이맹전선생 종손), 아헌관 이맹수(용계서원 복원 건립추진위원), 종헌관 이기석(자양면장, 이맹전선생 후손), 집례 이익순(벽진이씨 경은공파 부회장)으로 분정했다.
용계서원은 세조가 단종을 폐하고 왕위에 오르자 충신은 불사이군(不事二君)이라는 춘추의리(春秋義理)를 굳게 지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인 선산군으로 돌아와 27년간을 거짓 봉사 거짓 귀먹어리(靑盲과니)를 빙자하고 매월 초하룻날 아침이면 태양을 향하여 기도하며 영월 단종의 적소에 요배하여 단종을 추모하였고 세조가 있는 서울 쪽으로는 앉은 적이 한 번도 없었다는 정간공 경은 이맹전선생을 비롯하여 여섯 분의 생육신을 배향하고 있는 곳이다.
이번에 복원을 앞두고 춘향제를 올린 용계서원은, 마치 생육신 이맹전선생의 90년 삶과도 같이 순탄치만은 않은, 역경의 역사를 갖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태생지가 아니지만 후손들이 세거하여 향촌사회의 큰 문중을 이루면서 선현의 위업을 숭향하는 서원 조성이 집중되던 조선시대 숙종(1713년) 당시 후손들의 세거지인 자양면 원각리에 건립한 제당(도지정 국가유산)과 부조묘(도지정)에 이어 1786년 서원을 건립했지만, 1871년 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02년 용계서당으로 복원, 1975년 당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호로 지정되어 1976년 영천댐 공사로 현 위치로 이건되어 오면서 과거의 모습을 잃게 되어 서원 강당, 부조묘, 제당의 단촐한 행태로 명맥을 지켜오게 되었다.
100여 년 넘게 유림의 창의로 생육신을 배향해 오던 서원으로서의 역할에 소홀한 공간적 여건으로 안타까이 지내오던 중, 2023년 후손들의 공의로 문중 예산을 포함하여 영천시 및 경상북도의 지원으로 담장, 출입문, 동·서재 복원공사를 실시하여 오는 10월경 150여년만에 단절된 생육신 제향을 다시 봉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복원되는 용계서원은 강당을 비롯하여 동·서재, 종택 등에 건물 현판을 게첨하고, 향내 서원으로서는 드물게 서원 운영의 기본이라 할 원규(院規), 백록동규(白鹿洞規), 사물잠(四勿箴) 편액도 게첨하고 있어 서원의 건축, 운영 등의 전 과정을 담고 있으며, 앞으로 지역문화유산 탐방에 있어 스토리텔링의 좋은 화두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현대화의 중요한 국가기본시설인 영천댐 건설로 지역의 숱한 문화유산이 수몰을 피해 자양, 임고, 심지어 영천 시내까지 이건되고, 고인돌 등은 여전히 차가운 물 속에서 과거 찬연한 자양 일원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된 임진왜란 의병장 백암공 정의번 시총, 영천댐 수몰로 이건한 강호정 등 하절지역 문화유산, 명암 이태일선생 항일 척장비, 충효재, 거동사 등 산남의진유적지 등과 함께 충절문화유산으로서 용계서원의 역할이 크게 기대된다.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