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헤드라인
헤드라인

안동, 글로벌 백신산업의 허브로 조성

이순락기자 0 7465

988689952_x9s4dWZb_f08929dbd2c6ef3235da540e1c5f7df2fd2fed59.JPG


988689952_pIREkY72_d0571b441b2b2f26b835065fe50aebfe279f9dad.jpg

988689952_rx8aMg93_9015e18dc6fe92821399ad4615d5973dc0975887.jpg

988689952_gPDUzRhF_220011afa290eda568d63d42b179c36106802cb8.jpg
 

안동을 글로벌 백신 산업의 허브로 조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안동시는 국가 차원의 백신 생산과 공급지원을 위해 2021년까지 1,029 원을 투자해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를 건립한다.

실증지원센터는 개발한 백신을 산업화하기 전 임상시험을 위한 백신 제조를 지원·생산하는 시설로, BSL-3 급 백신 원료제조시설을 갖추게 된다. BSL-3 백신 원료제조시설은 메르스, 신종플루 등과 같이 고위험성 전염병도 취급 가능한 시설로 유사시 국가 기간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백신 임상, 시제품 원료 및 완제품 생산 관련 장비 81194대도 도입할 계획이다. 글로벌 GMP 규정에 적합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형태의 동물 세포 배양 등 별도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백신을 연구·개발하는 기업체에 최고 수준의 시설을 제공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임상용 백신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시는 이미 2010년 경북바이오산업단지 준공을 시작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 L하우스 백신 공장, SK플라즈마 안동공장, 국제백신연구소(IVI) 안동 분원 등을 유치한 바 있다.

이러한 시설들과 연계해 백신 산업 기반 확충 및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다.

기초연구는 국제백신연구소(IVI)에서, 비 임상은 2019년부터 추진하는 백신상용화기술지원센터에서, 임상은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백신 생산 전주기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 기업의 백신 개발에 대한 위험부담을 최소화하고 백신 글로벌 시장진출 성공률을 높여 국내 백신 기업의 동반성장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조선시대 서원의 건축 요소를 가져와, 건물의 수평은 기와지붕을, 수직은 누각의 기둥을 표현해 건립된다.

권영세 안동시장은 백신 산업 클러스터의 완성과 발전을 위해 체계적 지원과 기업육성·유치에 힘쓸 것이라며, “이를 통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일자리도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BSL-3(Bio Safety Level-3, 생물안전 3등급시설) : 메르스, 신종플루,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등과 같이 고위험성 전염병 취급이 가능한 시설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약품제조업자가 우수 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를 위하여 준수해야 할 사항. 미국 및 유럽의 경우, 의약품이 안전(safety), 확인(identity), 효능(strength), 품질(quality), 순도(purity)라는 특성별로 기준에 적합하게 생산되고 있음을 보증하기 위하여 생산, 공정, 포장, 및 보관 등과 같은 제조, 관리에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법적 요건을 GMP라고 정의한다.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